테슬라가 미국 정치와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거센 하락을 맞이하면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 최근 한 달간 테슬라 주가는 26% 이상 하락했고, 지난해 12월 고점 대비 47% 넘게 폭락함.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테슬라가 정치적 반감의 대상이 되면서 수요가 급감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
하지만 한국의 서학개미들은 여전히 테슬라를 적극적으로 매수하고 있음. 최근 한 달간 해외 금융상품 중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테슬라 2배 레버리지 ETF였고, 그다음이 테슬라 주식 자체였음. 반면 미국 내에서는 테슬라에 대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악화하고 있으며, 머스크가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 합류한 후 연방 기관 대규모 해고를 주도한 것도 여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줬음.
이런 분위기 속에서 테슬라를 겨냥한 범죄도 잇따르고 있음. 최근 미국 시애틀에서는 테슬라 사이버트럭 4대가 불에 타는 사건이 발생했고, 일부 매장과 차량을 대상으로 한 공격도 지속됨. 일론 머스크는 이번 사건이 민주당 지지 단체들의 조직적인 공격이라 주장하며 정치적 의도를 의심하고 있음. 실제로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테슬라 관련 시설에서 최소 12건 이상의 폭력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됨.
정치적 리스크 외에도 테슬라는 본업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 유럽 시장에서 판매량이 급감하면서 폭스바겐에 선두를 내줬고, 중국에서도 경쟁 심화로 점유율이 하락 중임. 이에 따라 글로벌 투자은행 베어드는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가 테슬라 수요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고 분석했음.
주가 흐름도 좋지 않음. 테슬라는 이날 13% 폭락하며 올해 하락률이 43%에 육박함. 테슬라뿐만 아니라 M7(매그니피센트 7) 빅테크 종목들도 전반적으로 급락했음. 엔비디아, 애플, 알파벳, 메타플랫폼스 등 주요 빅테크 주식들이 5% 이상 하락했고, 반도체 업종 역시 동반 하락. 미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은행주들도 급락했으며,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대형 은행주들이 5% 넘게 빠짐.
증권가에서는 테슬라의 불확실성이 앞으로 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음. 삼성증권은 "테슬라는 트럼프 당선의 최대 수혜주로 꼽혔으나 현재는 반대로 정치적 리스크가 가장 큰 기업이 됐다"고 분석함. 또한 머스크가 정부효율부에 집중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본업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점도 투자자들에게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하지만 반대로 이번 하락이 매수 기회라는 의견도 있음. 서학개미들이 테슬라를 적극적으로 매수하고 있는 이유도 결국 테슬라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믿기 때문임. 일부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기술력과 전기차 시장 내 입지를 고려할 때 지금의 하락이 단기적인 조정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음. 미국 내에서는 테슬라 불매 운동과 판매 부진이 겹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여전히 전기차 시장의 선두 주자로서 반등할 가능성이 남아 있음.
결국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테슬라가 현재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이냐임. 정치적 리스크, 판매 부진, 머스크의 행보 등 다양한 변수가 얽혀 있는 만큼 신중한 투자 판단이 필요한 시점임.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크겠지만, 장기적으로 테슬라가 다시 반등할지, 아니면 위기가 지속될지 지켜봐야 할 상황임.
'해외 주요 뉴스 내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변수에 출렁이는 경제, 지금이 매수 타이밍? 경기침체 우려 vs 매수 기회 경제 상황 정 (0) | 2025.03.11 |
---|---|
비트코인 8만 2천 달러대로 하락, 폭락 이유 – 미중 관세전쟁, 트럼프 정책, 거시경제 불안 등 정리 (0) | 2025.03.10 |
테슬라 주가 7주 연속 하락, 테슬라 주식 최근 전망, 주가변동 이유 등 정리 (0) | 2025.03.08 |
트럼프의 백악관 첫 암호화폐 정상회담,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보유 전략, 이더리움, 리플 등 급락 이유 등 총 정리 (0) | 2025.03.08 |
트럼프의 '한국 관세 4배' 발언, 그 진실은? 트럼프 관세 정책과 한국 정부의 반박 내용 총정리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