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요 뉴스 내용 정리!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 정리 – 홈플러스 폐점, 파산, 협력사 납품, 정산금, 국민연금 등

by 하식이 2025. 3. 8.
반응형

홈플러스 회생, 납품 재개부터 국민연금 손실까지…사태 총정리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협력사 납품 중단부터 국민연금 대규모 손실 우려까지 온갖 후폭풍이 터지고 있다. 여기에 입점 점주들과 개인 투자자들까지 직격탄을 맞으면서, 홈플러스발 후폭풍이 유통업계를 넘어 금융권과 국민 여론까지 흔들고 있다.

협력사 납품 재개…하지만 불안은 여전

홈플러스는 기업회생 절차를 시작하면서 CJ제일제당, 농심, 오뚜기 같은 핵심 협력사들이 납품을 일시 중단하는 사태를 겪었다. 대금 지급이 불투명해진 탓이다. 하지만 홈플러스가 협력사들과 빠르게 협의해, 현재는 대부분 납품을 재개한 상태다.

 

홈플러스 측은 “창립 행사인 ‘홈플런 is BACK’도 정상 진행 중이고, 매장 운영에 문제는 없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여전히 현장은 불안한 기류가 감돈다. 특히 협력사들 입장에서는 ‘언제 또 돈줄이 막힐지 모른다’는 걱정이 크다. 실제로 오뚜기, 롯데웰푸드, 동서식품 등은 아직도 선결제나 담보 설정을 요구하고 있다.

입점 점주들 “정산금 언제 주나”…발동동

홈플러스 안에서 매장 운영하는 입점 점주들도 발을 구르고 있다. 일부 점주들은 지난 1월 매출 정산금을 아직 받지 못한 상황. 홈플러스 측은 “법원 허가 후 순차 지급하겠다”는 공문만 보냈을 뿐, 정확한 지급일은 알려주지 않았다.

 

점주들 사이에서는 “홈플러스가 언제 망할지 몰라 불안하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올 정도로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홈플러스는 가용 현금이 3090억 원 있고, 영업으로 매달 3000억 원씩 현금이 들어오니 문제없다고 강조하지만, 이미 신뢰가 무너진 상황에서 이런 설명은 크게 와닿지 않는 게 현실이다.

국민연금, 1조 원 넘게 물릴 위기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국민연금이다.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국민연금이 투자한 1조 원 규모의 상환전환우선주(RCPS) 회수가 불투명해졌다. 국민연금은 2015년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6121억 원을 투자했고, 복리 이자까지 붙으면서 지금은 투자 규모가 1조 1000억 원 수준으로 불어났다.

 

국민연금 입장에서는 당장 큰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다. “투자금 회수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지만, 회생 절차 특성상 전액 회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개인투자자들도 피눈물

홈플러스가 발행한 무담보 CP(기업어음)와 전자단기사채를 사들인 개인 투자자들도 손실이 불가피하다. 현재 남아 있는 CP·전단채 규모만 약 1930억 원에 달하는데, 이 역시 담보 없이 발행된 것이기 때문에 회생 절차에서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높다.

 

반면, 메리츠증권·메리츠캐피탈·메리츠화재 등 ‘메리츠 3형제’는 홈플러스 부동산을 담보로 잡고 1조 2000억 원을 빌려준 덕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상황이다. 이처럼 같은 채권 투자자라도 담보 여부에 따라 운명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MBK는 멀쩡…“다른 투자 성공으로 커버”

재미있는 건, 정작 홈플러스를 인수했던 MBK파트너스는 별다른 타격이 없다는 점이다. 홈플러스 외에도 다양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는 덕분이다. 오히려 MBK는 최근 고려아연 경영권 인수전에 뛰어들었는데, 홈플러스 사태가 이 인수전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법원 승인으로 밀린 대금 일부 지급 가능

한편, 서울회생법원은 홈플러스가 요청한 상거래 채권 조기변제를 승인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밀린 납품대금 약 3457억 원을 회생 절차 중에도 지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일단 협력사들의 숨통은 트였지만, 향후 자금 상황이 조금만 꼬여도 또다시 정산 지연 사태가 반복될 우려는 여전하다.

홈플러스 회생, 단순히 한 회사 문제가 아니다

결국 홈플러스 사태는 단순히 한 유통기업의 위기가 아니라, 국민연금·협력사·입점 점주·개인투자자까지 얽힌 복합 위기다. 여기에 대형마트 업계 전체의 위기감까지 더해져, 홈플러스가 이번 회생 절차를 얼마나 잘 풀어내느냐에 따라 유통업계 판도 자체가 흔들릴 가능성도 있다.

홈플러스는 “회생 절차를 통해 재무구조를 투명하게 정리하고, 경영 정상화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이미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과연 홈플러스는 법원의 ‘안전판’을 밟고 기사회생에 성공할 수 있을까. 아니면, 오히려 더 깊은 수렁으로 빠져드는 길목에 서 있는 걸까. 앞으로의 행보에 유통업계 전체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