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요 뉴스 내용 정리!

주거안정장학금 기숙사도 등록 가능? 청년주거안정장학금 서류와 신청 등 모든 내용 정리

by 하식이 2025. 2. 19.
반응형

 

대학생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새로운 장학금이 2025년부터 시행됨. 이름하여 '주거안정장학금'.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정부에서 도입한 제도임.

주거안정장학금이란?

대학 소재지와 부모의 거주지가 다른 원거리 대학생 중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 학생들에게 월 최대 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장학금임. 비슷한 제도로 '학자금대출 생활비 대출'이나 '국가장학금' 등이 있지만, 주거비에 특화된 지원은 이번이 처음이라 할 수 있음.


지원 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대학생
  • 대학과 부모 거주지가 다른 교통권에 위치한 경우 지원 가능. 예를 들어, 대구에 거주하는 학생이 서울의 대학에 진학했을 때 대상이 됨.
  • 같은 교통권 내에서도 통학 시간이 편도 2시간 이상이라면 신청 가능.
  • 다만, 부모와 주소지가 다르더라도 같은 교통권이며 통학 시간이 2시간 미만이라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됨.

주거비 부담으로 학업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통학 거리와 시간이 주요 기준이 됨.


지원 내용

  • 월 최대 20만 원 지원
  • 학기 중에 지원되며, 계절학기 수강 시 방학 기간에도 지원 가능함.
  • 지원 항목은 다양함.
    • 전세 및 월세 임차료
    • 주거 유지·관리비(관리비, 청소비 등)
    • 수도·전기·가스·난방비 등 공공요금
    • 주택 임차·저당 대출 이자
  • 단, 실제 거주 사실이 확인되어야 함. 계약서와 관리비 청구서 등이 필요할 수 있음.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2월 4일 ~ 3월 18일
  • 신청 방법: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또는 모바일 앱에서 신청 가능
  • 신청 시 필요 서류
    • 본인 및 부모의 거주지 확인 서류(주민등록등본 등)
    • 임대차 계약서 사본
    • 기초·차상위 계층 증빙서류

신청 후 심사를 거쳐 학기 시작 전까지 지급될 예정임.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참고!
https://www.kosaf.go.kr/ko/main.do


주거안정장학금이 왜 필요한가?

기존에도 학자금 대출이나 생활비 지원 제도는 있었지만, 실제로 대학생들의 가장 큰 부담 중 하나는 '주거비'였음. 특히 수도권으로 진학한 비수도권 학생들, 또는 비수도권으로 진학한 수도권 학생들에게 주거비는 상당한 부담이었음.

2023년 기준 서울의 평균 월세는 약 60만 원. 여기에 관리비와 공과금까지 포함하면 한 달에 80만 원 이상이 필요했음. 하지만 기초·차상위 계층 학생들은 이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음. 교육부 조사에 따르면, 이들 중 상당수는 학업 대신 아르바이트로 생활비를 벌어야 했고, 그로 인해 학업 성취도나 졸업률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음.

주거안정장학금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도입된 제도임.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취지임.


신청 시 유의사항

  • 기숙사 거주자는 지원 대상이 아님.
  • 실거주지와 계약서 주소가 일치해야 함.
  • 타 장학금과 중복 수혜 가능하지만, 장학금 총액이 등록금과 생활비를 초과할 경우 일부 반환할 수도 있음.

대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장학금이지만, 신청 절차와 요건을 꼼꼼히 확인해야 함.

 
 
 
 
 
 

 

2025년부터 시행되는 주거안정장학금은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 돕기 위한 제도임. 주거비가 부담되어 고민이라면 반드시 신청해보길 권장함. 누구나 부담 없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람.

반응형